본문 바로가기
지원금·장학금/지역별 정책및 지원금

2026 서울·경기도 복지 지원 총정리 (아동수당·청년적금·교통패스·기초연금)

by lee divulge 2025. 9. 2.
반응형
2026년 서울과 경기도는 정부 예산안과 연계하여 전 세대 맞춤형 복지를 강화합니다. 아동수당·청년 적금·교통패스·기초연금까지 생활 밀착형 지원이 확대되어, 지역별 차별화된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2026 서울과 경기도 복지 지원 정책 총정리 이미지

👶 아동·청소년 지원

서울시는 만 8세까지 월 10만 원의 아동수당을 지급하며, 일부 구에서는 자체 예산으로 13만 원까지 확대합니다. 경기도 또한 아동수당은 동일하지만, 시·군 단위 차등 지원을 통해 최대 12만 원까지 지급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청소년 교통비 지원은 서울형 무제한 패스와 경기 청소년 교통비 지원 사업(분기별 정산)이 병행됩니다.

🧑 청년 지원

서울 청년은 청년미래적금 가입 시 3년간 최대 2,200만 원을 모을 수 있으며, 연간 10만 원의 장려금을 추가로 받습니다. 경기도는 청년국민연금 지원과 함께, 월세 지원(최대 20만 원), 면접수당 등이 특화되어 있습니다. 양 지역 모두 전국 교통패스를 도입하여 월 5만 5천 원 수준에 지하철·버스 무제한 이용이 가능합니다.

👨‍👩‍👧 중장년·노인 지원

  • 서울: 기초연금 단독 월 40만 원, 부부 월 64만 원 + 문화누리카드 12만 원
  • 경기도: 기초연금 동일, 추가로 농촌 기본소득 시범사업 일부 군 단위에서 지급
  • 공통: 직장인 식대 비과세 월 10만 원 확대

📊 지원 항목 비교

구분 서울 경기 월 환산
아동 아동수당 10~13만 원 아동수당 10~12만 원 10~13만 원
청년 미래적금 + 월세(30만) + 교통패스 미래적금 + 월세(20만) + 교통지원 30~35만 원+
중장년 식대 비과세·재취업 식대 비과세·농촌 기본소득 15만 원+
노인 기초연금 + 문화누리 기초연금 + 문화누리 64만 원+

❓ FAQ

Q1. 경기도 청년 월세 지원은 누구에게 주어지나요?
만 19~34세 무주택 청년으로 소득 요건을 충족해야 하며, 최대 20만 원까지 지원됩니다.

Q2. 서울 아동수당 13만 원은 전 지역 동일한가요?
아닙니다. 기본 10만 원은 동일하지만, 일부 구(성북·관악 등)는 자체 예산으로 13만 원까지 지급합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서울시청 공식 홈페이지 바로가기 경기도청 공식 홈페이지 바로가기

문의: 보건복지부 콜센터 ☎ 129 / 서울시 다산콜센터 ☎ 120 / 경기도 콜센터 ☎ 031-1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