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동·청소년 지원
전국 공통적으로 아동수당은 만 8세까지 월 10만 원이 지급됩니다. 하지만 권역별 특성에 따라 추가 지원이 있습니다. 강원도는 농촌지역 아동의 통학 교통비를 지원하고, 충남은 아동센터를 확충해 돌봄 공백을 줄입니다. 전북은 아동 의료비 지원을 신설했고, 제주는 다문화 아동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을 확대합니다.
이러한 정책들은 단순히 현금 지원을 넘어, 아동의 안전·건강·교육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특징이 있습니다. 특히 호남권은 농촌 아동의 보육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지역 국공립 어린이집을 확충 중입니다.
🧑 청년 지원
청년 지원은 이번 예산안의 핵심입니다. 전국 공통 청년미래적금(3년 최대 2,200만 원 적립)이 시행되지만, 지역별 맞춤 지원은 더욱 다양합니다. 울산은 산업단지 근로 청년을 위해 기숙사와 생활비를 지원하고, 대전은 연구개발 특구의 특성을 살려 연구인력 청년 주거비를 지원합니다. 충북은 농촌 청년 창업을 위한 최대 3천만 원 창업 자금을 지원하고, 제주는 관광업 종사 청년에게 생활안정비를 지급합니다.
또한 청년 교통비 경감 정책도 강화됩니다. 전국 통합 교통패스를 통해 월 5만 5천 원으로 전국 지하철·버스를 무제한 이용할 수 있으며, 호남과 영남 청년은 원거리 통학·통근에 큰 혜택을 보고 있습니다.
대전광역시청 홈페이지 바로가기 울산광역시청 홈페이지 바로가기
👨👩👧 중장년 지원
중장년층 지원은 주로 일자리 안정과 생활비 부담 완화에 맞춰져 있습니다. 충청권은 귀농·귀촌 장려금으로 최대 1천만 원을 지원하며, 호남권은 전통시장 바우처를 통해 지역 경제를 활성화합니다. 경상권은 제조업 근로자 복지를 강화하고, 제주는 농어민 기본소득을 월 15만 원 시범 지급합니다.
특히 제주도의 농어민 기본소득은 국내 최초 시범사업으로, 전국적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큰 제도입니다.
👵 노인 지원
노인층은 기초연금이 단독 40만 원, 부부 64만 원으로 인상되는 것이 가장 큰 변화입니다. 대전은 노인 공공일자리 5천 개를 새로 창출하고, 울산은 산재노인 의료비를 지원합니다. 강원도는 의료 취약지 방문진료를 확대하며, 제주는 고령층 돌봄 서비스를 강화합니다.
또한 호남권은 노인 문화센터를 확대 운영하여 여가활동을 지원하고, 영남권은 농촌 지역 노인 맞춤형 건강검진을 강화합니다.
📊 지역별 정책 비교표
구분 | 대전 | 울산 | 강원 | 충청 | 호남 | 영남 | 제주 |
아동 | 공통수당 | 공통수당 | 통학비 지원 | 아동센터 | 의료비 지원 | 공통수당 | 다문화 교육 |
청년 | 연구인력 주거 | 산업단지 기숙사 | 공통 | 농촌 창업 | 공통 | 공통 | 관광업 생활비 |
중장년 | 공통 | 공통 | 공통 | 귀농장려금 | 전통시장 바우처 | 제조업 복지 | 농어민 기본소득 |
노인 | 공공일자리 | 산재 의료비 | 방문진료 | 공통 | 문화센터 | 건강검진 | 돌봄서비스 |
❓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제주 농어민 기본소득은 언제부터 지급되나요?
2026년 하반기부터 시범적으로 시작됩니다.
Q2. 울산 청년 기숙사 지원은 누가 받을 수 있나요?
산업단지 내 근무하는 만 19~34세 청년 근로자.
Q3. 충청 귀농 장려금은 어디서 신청하나요?
충남·충북 귀농귀촌센터에서 접수 가능.
Q4. 강원도 통학비 지원은 어느 지역에 해당되나요?
농촌 지역 시·군의 초·중·고 학생이 대상입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문의: 보건복지부 ☎129 / 대전 042-120 / 울산 052-120 / 강원 033-120 / 충북 043-120 / 충남 041-120 / 전북 063-120 / 전남 061-120 / 경북 054-120 / 경남 055-120 / 제주 064-120
'지원금·장학금 > 지역별 정책및 지원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민생지원금 2차 지급 총정리 (지역별 차이·추가지원·FAQ) (0) | 2025.09.08 |
---|---|
2025년 건강보험 본인부담 상한제 완벽정리 (사례·신청방법·문의처) (0) | 2025.09.08 |
2026 중소기업·소멸지역 지원 총정리 (주4.5일제 기업지원·농촌 기본소득·지방 정착 대책) (0) | 2025.09.05 |
2026 부산·대구·인천·광주 복지정책 총정리 (아동수당·청년지원·교통패스·기초연금) (0) | 2025.09.03 |
2026 서울·경기도 복지 지원 총정리 (아동수당·청년적금·교통패스·기초연금) (0) | 2025.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