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동·청소년 지원
전국 공통으로 만 8세까지 아동수당 월 10만 원이 지급됩니다. 부산은 영유아 무상보육을 확대하고, 대구는 ‘아이키움 정책’으로 국공립 어린이집 확충에 나섭니다. 인천은 연수구·송도에서 월 12만 원까지 지급하며, 광주는 맞벌이 가정 방과후 돌봄 지원에 집중합니다.
교통 지원도 다릅니다. 인천은 공항철도까지 포함된 광역 교통패스를 운영하고, 부산은 청소년 정액제(월 3만 원), 대구는 50% 교통비 할인, 광주는 환급형 교통비 제도를 도입했습니다.
인천광역시청 홈페이지 바로가기 광주광역시청 홈페이지 바로가기
🧑 청년 지원
전국 공통 제도인 청년미래적금은 3년간 최대 2,200만 원을 모을 수 있습니다. 도시별 차별화 정책은 다음과 같습니다.
- 부산: 청년 창업자금 신용보증 (최대 2천만 원)
- 대구: 무주택 청년 월세 지원 (월 최대 20만 원)
- 인천: 청년 면접수당 (회당 10만 원)
- 광주: 청년 문화이용권 (연 10만 원)
또한 2026년부터는 전국 단일 교통패스로 월 5만 5천 원만 내면 전국 지하철·버스를 무제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수도권으로 통근하는 청년에게 특히 유리합니다.
부산광역시청 홈페이지 바로가기 대구광역시청 홈페이지 바로가기
👨👩👧 중장년 지원
중장년층을 위한 지원도 강화됩니다. 부산은 장기근속 장려금, 대구는 문화·체육시설 할인, 인천은 항만근로자 복지기금, 광주는 농촌 이주자 정착지원금을 운영합니다. 또한 전국 공통으로 직장인 식대 비과세 한도가 월 10만 원으로 인상되고, 재취업 지원센터가 확대됩니다.
👵 노인 지원
기초연금은 2026년부터 단독 40만 원, 부부 64만 원으로 인상됩니다. 부산은 노인 무상급식관, 대구는 치과진료비 지원, 인천은 독거노인 IoT 안전돌봄, 광주는 문화교실 운영을 확대합니다. 문화누리카드 연 12만 원은 전국 공통입니다.
📊 지역별 정책 비교표
구분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아동 | 아동수당 10만 + 무상보육 | 아동수당 10만 + 어린이집 확충 | 아동수당 10~12만 | 아동수당 10만 + 돌봄 강화 |
청년 | 창업자금 보증 | 월세 20만 지원 | 면접수당 10만 | 문화이용권 |
중장년 | 근속 장려금 | 문화체육 할인 | 항만복지기금 | 농촌정착지원 |
노인 | 무상급식관 | 치과진료비 | IoT 안전돌봄 | 문화교실 |
❓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인천 아동수당 12만 원은 누가 받을 수 있나요?
연수구·송도 일부 가정은 구청 추가 예산으로 2만 원을 더 지급받습니다.
Q2. 부산 청년 창업자금 보증은 어떻게 신청하나요?
부산신용보증재단을 통해 최대 2천만 원까지 가능합니다.
Q3. 대구 청년 월세 지원 조건은?
만 19~34세 무주택 청년으로 소득·재산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Q4. 광주 노인 문화교실은 어떤 프로그램이 있나요?
서예, 음악, 컴퓨터 등 다양한 평생학습 과정이 무료로 운영됩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문의: 보건복지부 ☎ 129 / 부산시 120콜센터 / 대구 달구벌콜 ☎ 120 / 인천 미추홀콜 ☎ 120 / 광주 콜센터 ☎ 120
'지원금·장학금 > 지역별 정책및 지원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민생지원금 2차 지급 총정리 (지역별 차이·추가지원·FAQ) (0) | 2025.09.08 |
---|---|
2025년 건강보험 본인부담 상한제 완벽정리 (사례·신청방법·문의처) (0) | 2025.09.08 |
2026 중소기업·소멸지역 지원 총정리 (주4.5일제 기업지원·농촌 기본소득·지방 정착 대책) (0) | 2025.09.05 |
2026 대전·울산·강원·충청·호남·영남·제주 생활지원 종합 정리 (생애주기별 맞춤 정책) (0) | 2025.09.03 |
2026 서울·경기도 복지 지원 총정리 (아동수당·청년적금·교통패스·기초연금) (0) | 2025.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