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 청년 월세 특별지원, 매달 20만 원 받는 법 총정리

by lee divulge 2025. 8. 6.
반응형

“집세 부담 너무 커요…” 청년 월세, 정부가 도와줘요

작은 자취방에서 이삿짐 박스를 정리하며 서류를 읽는 청년의 모습

요즘 물가도 오르고 전세대출 받기도 힘든데, 혼자 사는 청년들에겐 월세가 정말 큰 부담이에요.
그래서 정부가 2025년에도 ‘청년 월세 특별지원 제도’를 운영합니다.

조건만 맞으면 매달 최대 20만 원씩 최대 12개월간 지원받을 수 있어서 1년간 총 240만 원을 현금으로 받는 셈이에요.

📌 제도 개요 – 누구에게, 얼마나?

  • 🎯 대상: 만 19세~34세의 독립 거주 무주택 청년
  • 💸 금액: 월 20만 원씩 최대 12개월
  • 📅 지원기간: 신청 후 1년간 (소급 적용 불가)
  • 🧾 중복지원: 주거급여 미수급자만 가능 (기초생활수급자는 제외)

📌 소득과 재산 조건 – 생각보다 까다롭지 않아요

청년 월세 특별지원은 누구나 받을 수 있는 건 아니에요.
정부 기준에 따른 ‘소득과 재산’ 조건이 정해져 있는데요, 크게 보면 ‘청년 본인 기준’과 ‘부모 포함 가구 기준’으로 나뉘어요.

✅ 1. 청년 본인의 소득 기준

  • 기준: 중위소득 60% 이하
  • 2025년 기준 1인 가구 중위소득 60% → 약 120만 원 이하 (월)
  • 대상: 알바생, 취준생, 단기 계약직, 프리랜서도 포함

예를 들어, 편의점이나 카페에서 주 5일 아르바이트를 하며 월 110만 원 정도 버는 27세 청년이라면 이 기준에 해당돼요.

✅ 2. 청년 본인의 재산 기준

  • 기준: 재산 1억 원 이하
  • 해당 항목: 통장 잔액, 전세보증금, 차량가액 등 포함
  • 주의: 자동차나 보증금이 재산에 포함될 수 있으므로 주의!

예를 들어, 전세 보증금이 5천만 원이고, 중고차가 1,000만 원이면 통장에 3천만 원이 있어도

총 재산은 9,000만 원으로 기준 충족입니다.

✅ 3. 부모 포함 가구 소득 및 재산 기준

  • 📌 소득: 가구 전체 중위소득 100% 이하
  • 📌 재산: 부모 포함 가구 재산 총합 3억 8천만 원 이하
  • 가구 기준: 부모님이 건강보험을 납부하고 계신 경우, 함께 계산됨

예를 들어, 부모님이 자영업자인 경우 매출은 높아 보여도 건강보험료 기준으로는 중위소득 100% 미만일 수 있어요.
건강보험 납부 내역서로 판단되기 때문에 걱정하실 필요 없습니다.

🔍 조건 확인 팁

  • 복지로 사이트에서 중위소득표 및 가구 재산 기준 확인 가능
  • 모의계산 서비스’로 내 조건이 맞는지 미리 확인 가능

간단히 말하면, 취업준비생, 저소득 알바생, 자립준비 청년 등은 대부분 해당될 가능성이 높아요.

📌 신청 방법 – 복지로에서 100% 온라인 가능

이전엔 주민센터 가야 해서 번거로웠는데,
2025년부터는 복지로(bokjiro.go.kr)에서 온라인 신청이 가능해졌어요.

  • 📑 필요서류: 임대차계약서, 통장사본, 가족관계증명서, 소득 증빙 등
  • 📞 문의처: 보건복지상담센터 129

서류 제출이 깐깐할 수 있으니, 미리 준비해서 차분히 접수하시면 돼요.

📌 실제 사례 – 알바하며 자취하는 K씨의 후기

서울에서 자취 중인 27살 K씨는 편의점 알바로 월 110만 원 정도 벌고 있었어요.
월세 38만 원에 보증금도 거의 없는 반지하였죠.

청년 월세 특별지원을 신청한 뒤, 매달 20만 원이 따로 입금되니까 월세 부담이 확 줄었고, 생활비에도 여유가 생겼다고 해요.
“이 제도 없었으면 이사도 못 했을 것 같아요”라는 말이 와닿더라고요.

📌 놓치기 쉬운 포인트

  • 🏡 전입신고된 주소와 임대차계약서 주소가 달라선 안 돼요
  • 📅 신청 후 지급까지 1~2개월 소요될 수 있음
  • 📁 부모의 소득 및 재산 정보도 함께 제공 필요

📌 이런 분들은 꼭 신청하세요

  • 📦 자취 시작한 대학생 or 취준생
  • 🧳 고시원·반지하·셰어하우스에서 사는 청년
  • 🧑‍⚕️ 보호종료아동, 자립준비청년
  • 🧑‍🎓 독립 생계 중인데 부모 재산은 적당한 경우

📌 마무리하며

매달 20만 원, 1년이면 240만 원.
단순한 현금 지원이지만, 혼자 사는 청년에겐 숨통 트이는 기회가 될 수 있어요.

“나는 안 되겠지” 말고, 조건만 맞으면 꼭 신청해보세요.
지금도 복지로에서 신청 가능합니다.

👉 복지로 바로가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