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소비쿠폰 1차 신청 ~ 9/12(금) 18:00 / 사용 ~ 11/30(일)
② 공연·전시 할인권 210만 장 배포 중(선착순, 온라인 예매처)
③ 전국 영화관 6천원 할인권 450만 장 배포(소진 시 종료)
④ 에너지바우처 신청 6/9 ~ 12/31, 하절기 요금차감 7/1~
⑤ ‘문화가 있는 날’ 8/27(수) 17~21시 관람료 7,000원(2D)
⑥ 서울시 학자금대출 이자지원 2차 접수 8/1 ~ 9/11 18:00
⑦ 통신요금 감면 상시 — 자격 갱신·서류 점검 주간
1) 민생회복 소비쿠폰 1차 신청
1인당 기본 15만원(자격별 추가 가산) 형태의 소비쿠폰 1차 접수가 7월 21일부터 진행 중이에요. 이번 주에는 출생연도 요일제 종료 후 혼잡이 줄어든 시간대(평일 낮)에 신청을 권장하고, 내가 선택한 결제수단(카드/지역사랑상품권 등)과 사용 가능 업종을 먼저 확인해두세요.
- 신청: ~ 9/12(금) 18:00 / 사용: ~ 11/30(일)
- 사용처: 연 매출 제한 등 소상공인 중심(대기업·일부 업종 제한)
- TIP: 카드 실적·환불 규정, 타 지역 사용 제한 체크
2) 공연·전시 할인권 210만 장
8월 8일부터 연극·뮤지컬·클래식·국악·무용·전시 등에 쓸 수 있는 할인권이 선착순으로 배포돼요. 공연 1만원, 전시 3천원 할인이며, 온라인 예매처에서 발급 후 사용합니다. 대중음악 콘서트·산업박람회 등 일부 분야는 제외예요.
3) 영화관 6천원 할인권 450만 장
전국 영화관 4사(CGV·롯데·메가박스·씨네Q) 포함 다수 상영관에서 입장권 6천원 할인권을 배포 중입니다. 각 극장 앱/웹에서 선착순 발급되며, 2D 일반 상영 위주로 적용돼요. 주말·특수관 제외 등 세부 조건은 극장별 공지를 꼭 확인하세요.
4) 에너지바우처 — 하절기 요금차감 중
냉·난방비 부담을 덜어주는 에너지바우처, 올해 신청은 6/9~12/31까지입니다. 하절기 요금차감은 7/1부터 적용되고 있어요. 자격 확인 후 행정복지센터 또는 온라인으로 신청하고, 국민행복카드/요금차감 방식 중 본인에게 유리한 방식을 선택하세요.
5) 8월 ‘문화가 있는 날’ — 8/27(수)
매월 마지막 수요일에는 영화(2D) 17~21시 7,000원 등 문화생활 기본가가 내려갑니다. 지역별 참여 시설과 세부 시간은 상이하니, 공식 페이지에서 내 근처 혜택을 먼저 확인해보세요.
6) 서울시 학자금대출 이자지원 2차 (8/1~9/11 18:00)
서울 거주 재(휴)학생·졸업생 대상 학자금대출 이자를 상반기분 기준으로 지원합니다. 신청 마감은 9/11(목) 18:00. 이번 주엔 서울시 거주 요건·소득분위 증빙과 한국장학재단 대출내역을 미리 준비해두세요.
7) 통신요금 감면 — 자격 갱신 체크
생계·의료급여 수급자, 차상위, 장애인 등은 이동·유선 통신요금 감면을 받을 수 있어요. 상시 제도지만, 자격 변동이 있으면 감면이 해지될 수 있으니 이번 주에 한 번 점검해보세요.
- 예시: 이동전화 기본료·음성·데이터 최대 35% 감면(유형별 상한 다름)
- 신청: 복지로/통신사 지점·고객센터
- 마감 임박 시간대(평일 16~18시)는 접속 지연 가능 → 오전/점심 시간대 추천
- 온라인 신청 시 ‘임시저장’ 습관화, 보완요청 대비해 서류 스캔본 보관
- 문자 스팸 필터링으로 알림 누락될 수 있음 → 마이페이지·이메일 병행 확인
- 이번 주 핵심: 소비쿠폰·문화할인·영화·에너지·학자금·통신 감면 기한 재확인
- 가장 먼저 할 일: 내 자격 확인 → 서류 준비 → 평일 낮에 접수
- 기억하기: 8/27(수) ‘문화가 있는 날’, 9/11(목) 학자금 이자지원 마감, 9/12(금) 소비쿠폰 1차 마감
- 문화체육관광부 대표전화: 044-203-2000
- 영화진흥위원회 대표전화: 051-720-4700
- 에너지바우처 콜센터: 1600-3190
- 서울청년센터 대표전화(다산콜): 02-120
- 통신요금 감면 문의(복지로·이동전화): 1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