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핵심 요약
· 대상: 신청일 기준 만 65세 이상, 시흥시 거주 어르신
· 시행: 2026년 1월 1일 시작 (1~3월 사용분부터 반영)
· 지원: 분기별 교통비 지원(연 최대 16만 원 범위) — 분기 종료 후 익월 지급
· 신청: 2025년 11월 3일(월)부터, 농협 지점 방문 신청(신분증·교통카드·농협통장 지참)
· 대상: 신청일 기준 만 65세 이상, 시흥시 거주 어르신
· 시행: 2026년 1월 1일 시작 (1~3월 사용분부터 반영)
· 지원: 분기별 교통비 지원(연 최대 16만 원 범위) — 분기 종료 후 익월 지급
· 신청: 2025년 11월 3일(월)부터, 농협 지점 방문 신청(신분증·교통카드·농협통장 지참)
무엇을 지원하나요?
- 지원수단: 시흥시 관내 시내·마을·광역버스(지역 공공교통)
- 지원규모: 분기별 최대 4만 원 내에서 사용분 지원(연 최대 16만 원)
- 지급방식: 분기 종료 후 합산해 익월에 지급(교통카드 충전 또는 계좌 연계 방식)
언제부터 얼마나 받나요? (지급 일정)
사용분 | 기간 | 지급 예정 | 비고 |
---|---|---|---|
1분기 | 1~3월 | 4월 첫 지급 | 분기별 한도 내 정산 |
2분기 | 4~6월 | 7월 | |
3분기 | 7~9월 | 10월 | |
4분기 | 10~12월 | 다음 해 1월 |
누가 받을 수 있나요? (자격)
- 연령: 만 65세 이상
- 거주: 주민등록상 시흥시 거주(등본 기준)
어떻게 신청하나요? (절차)
- 신청 시작: 2025년 11월 3일(월)부터 계속
- 방문 장소: 가까운 농협 지점
- 지참물: 신분증(필수), 교통카드(예: G-PASS 등) 및 농협 통장
- 현장 접수: 신청서 작성 → 교통카드·계좌 연계 등록 → 확인·접수
TIP : 출생연도별 순차 접수(혼잡 분산)가 예고될 수 있으니, 시흥시 공지사항을 미리 확인하세요.
유의사항
- 중복 지원 제한: 타 교통비 지원(특정 교통복지카드 등)과 중복 시 제한될 수 있습니다.
- 사용분 정산: 실제 버스 이용금액을 분기별 한도 내에서 정산합니다.
- 주소지 기준: 주민등록 주소지 및 자격 요건 충족 여부는 담당자의 확인·상담 후 최종 판단됩니다.
자주 묻는 질문(FAQ)
Q1. 타 지역 거주 어르신도 신청할 수 있나요?
A. 불가합니다. 주민등록상 시흥시 거주 어르신만 대상입니다.
Q2. 현금으로 주나요, 교통카드 충전인가요?
A. 원칙적으로 교통 이용 실적을 기준으로 분기별 정산·지급되며, 교통카드 충전 또는 계좌 연계 방식으로 안내됩니다.
Q3. 언제 받아요?
A. 분기 종료 후 익월(예: 1~3월 → 4월)에 지급됩니다.
Q4. 신청 시작일이 지나도 신청 가능한가요?
A. 가능합니다. 다만 출생연도별 등 순차 접수가 있을 수 있으니 공지사항을 확인하세요.
정리
· 시흥시가 65세 이상 어르신의 분기별 교통비를 지원(연 16만 원 한도)합니다.
· 2026년 1월부터 사용분 반영, 2025년 11월 3일부터 농협 지점에서 신청 시작.
· 분기 종료 후 익월 지급, 중복 지원 제한 등 유의사항을 꼭 확인하세요.
· 시흥시가 65세 이상 어르신의 분기별 교통비를 지원(연 16만 원 한도)합니다.
· 2026년 1월부터 사용분 반영, 2025년 11월 3일부터 농협 지점에서 신청 시작.
· 분기 종료 후 익월 지급, 중복 지원 제한 등 유의사항을 꼭 확인하세요.
함께 보면 좋은 글
문의
- 사업내용 및 기타 문의 : 시흥시청 대중교통과 (예시) 031-310-2759, 2756-7
- 카드 충전·이용내역 확인 : (예시) 고객센터 1644-0006
- 시흥시청 공식 홈페이지
반응형
'지원금·장학금 > 지역별 정책및 지원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저소득층 성인 연간 교육비 지원 (‘평생교육이용권’) 완전 정리 (0) | 2025.10.12 |
---|---|
2025년 출산·육아기 고용안정장려금 (정책/금융/생활정보) (0) | 2025.10.08 |
2026 직장인·농어촌 지원 종합 정리 (밥값 지원·근로시간 단축·농촌 기본소득) (0) | 2025.09.24 |
김동연 “‘극저신용대출 2.0’ 추진” — 이재명 정책 계승과 민생금융 강화 (0) | 2025.09.17 |
“월 216만 원 혜택?” 2026년부터 달라지는 지원제도 (아동수당·청년적금·교통패스) (0) | 2025.09.12 |